데이터베이스/이론

인덱스란?인덱스(Index)란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더 빠르게 검색할 수 있게 해주는 자료구조이다.인덱스를 이해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책을 떠올리는 것이다. 책에는 '목차'라는 것이 존재한다.이 목차를 통해 내가 원하는 내용을 쉽게 찾아서 읽을 수 있다. 반면 이러한 목차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독자는 앞에서부터 페이지를 넘겨가며 해당 데이터를 찾아야 할 것이다. 운이 좋게 앞쪽 페이지에 나왔다 하더라도 뒤에 그 내용이 안나온다는 보장이 없기 때문에 결국 끝까지 찾아봐야 한다. 이것이 바로 인덱스의 기본적인 원리이다.  인덱스의 종류인덱스는 크게 클러스터형과 보조형으로 나눌 수 있다. 클러스터형 인덱스(Clustered Index)클러스터형 인덱스(Clustered Index)란 데이터 행의 원래 순서대..
대체키(Surrogate Key)?레코드를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해서 인위적으로 생성된 키를 말한다.일반적으로 순차적인 자연수 값을 통해 사용된다.(auto_increment) 장점오로지 레코드를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해 만들어진 키이기 때문에 데이터의 안정성이 높다.보통 자연수 값을 사용하기 때문에 조인시에 성능이 향상된다.단점데이터베이스 외부에선 아무런 의미가 없다.추가적인 열을 만들어야 하는 것이기 때문에 데이터베이스의 크기가 증가하게 된다. 자연키(Natural Key)?실제 테이블에 존재하는 즉, 비즈니스에서 사용되는 컬럼 중 기본키가 될 수 있는 키를 말한다.ex) 주민등록번호, 이메일, 서비스 내에서의 id 장점직관적이며 의미가 명확하다.단점복잡한 자연키의 경우 성능이 떨어질 수 있다.추후 비즈..
jaehee1113
'데이터베이스/이론'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