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 AI

· 생성형 AI
Intro. 지난 글에선 ChatGPT API를 통해 깃허브 리포지토리를 요약해보았다. 이번에는 Gemini API, LLama API를 사용해보겠다. 전체적인 구조는 이전의 ChatGPT를 사용할 때와 다르지 않다. 단지 LLM의 종류만 바꿨을 뿐이다. Gemini API Gemini API를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방법도 ChatGPT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API 키 가져오기 | Google AI for Developers 이 페이지는 Cloud Translation API를 통해 번역되었습니다. 의견 보내기 API 키 가져오기 컬렉션을 사용해 정리하기 내 환경설정을 기준으로 콘텐츠를 저장하고 분류하세요. API를 사용하려면 API 키가 ai.google.dev 해당 링크에서 API키를 발급받고 코드에..
· 생성형 AI
Intro. 지금까지 Github API 사용법, ChatGPT API 사용법을 알아봤으니 둘을 사용해서 서비스를 개발해볼 시간이다. Fast API를 통해 간단히 API를 개발하고 PostMan으로 테스트 해보겠다. 시작에 앞서 구조를 한번 그림으로 정리해봤다 Github Repository의 정보를 가져오기 리포지토리의 어떤 정보를 받아와야 GPT가 잘 요약을 할 수 있을지 고민을 했었다. 1.Readme.md 사실 최고는 잘 정리된 readme.md 파일을 읽어오는 것이다. 하지만 모든 개발자가 readme를 제대로 정리 안해놓을 수도 있고 애초에 이 요약서비스를 사용한다는 것 자체가 그러한 정리에 익숙치 않거나 귀찮아 하는 사람들일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readme.md는 후보가 될 수는 있지만 ..
· 생성형 AI
Intro.프로젝트의 핵심 기능이라고 할 수 있는 AI 서비스를 구현하기에 앞서 어떤 LLM을 사용하면 좋을지 선택하기 위해 가장 먼저 ChatGPT API를 사용해보았다. 패키지 설치pip install openaiAPI Key 발급OpenAI 로그인을 한뒤 [api-keys]에서 발급 받을 수 있다.https://platform.openai.com/api-keys환경변수 설정하기 API KEY와 같은 외부에 알려지면 안되는 정보는 환경변수로 관리해줘야한다.또한 별도의 파일에 빼서 관리하는 것이기 때문에 재사용하기에도 좋다.OpenAI도 이를 권장하고 있다.OpenAI는 그중에서도 1번을 권장하고 있지만 나는 2번으로 해봤다..env 파일을 생성해 API_KEY를 넣..
· 생성형 AI
Intro. 깃허브의 리포지토리의 정보를 기반으로 프로젝트에 대해 요약해주는 기능을 구현하고자 한다. 이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선 리포지토리의 정보를 갖고 올 수 있어야 한다.그 방법이 바로 깃허브 API를 활용하는 것이다.이 포스트에선 깃허브 API를 통해 리포지토리의 내용을 갖고 오는 부분을 다루겠다. Repository API 사용하기 Github가 제공하는 수많은 API중 나는 내 서비스에 맞는 Repository API를 사용해보도록 하겠다. 1. Github Token 생성 API를 사용하려면 Github 토큰이 필요하다. Github 홈페이지에서 [Settings] - [Developer Settings] - [Personal Access Tokens] -[Tokens(classic)]으로 이..
jaehee1113
'생성형 AI' 카테고리의 글 목록